티스토리 뷰
목차
📊 주식 수익률 계산법, 초보도 쉽게 이해하는 3가지 공식!
주식을 투자하다 보면 “지금 내 수익률은 몇 % 일까?”
“세금 빼고 실제 수익은 얼마일까?”가 궁금할 때가 많습니다.
단순하게는 매수가와 매도가 차이만 보면 될 것 같지만, 수수료, 세금, 배당금까지 고려해야 진짜 수익률을 정확하게 알 수 있습니다. 오늘은 초보자도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주식 수익률 계산법 3가지를 소개합니다.
1. 📐 기본 수익률 계산 공식
가장 기본적인 수익률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.
▶ 수익률(%) = [(매도가 - 매수가) ÷ 매수가] × 100
예를 들어, 삼성전자 주식을 60,000원에 매수하고, 70,000원에 매도했다면?
▶ 수익률 = [(70,000 - 60,000) ÷ 60,000] × 100 = 16.67%
간단하게 주가 차익만으로 계산하는 방식입니다. 하지만 실제 수익률은 수수료와 세금을 고려해야 조금 더 정확합니다.
2. 💸 수수료와 세금 반영한 실질 수익률 계산
증권사 매매에는 매수·매도 시 수수료 + 유관기관 수수료가 붙고, 매도 차익에는 세금이 붙을 수 있습니다(해외주식 or 대주주 제외 시 국내는 비과세).
▶ 실질 수익 = (매도금액 - 매수금액) - 총수수료 - 세금
▶ 실질 수익률 = (실질 수익 ÷ 매수금액) × 100
예시: - 매수가: 1,000,000원 - 매도가: 1,150,000원 - 수수료: 0.015% (왕복 약 3,000원) - 세금: 0원 (국내 개인, 비과세 기준) → 실질 수익: 150,000 - 3,000 = 147,000원 → 실질 수익률 = (147,000 ÷ 1,000,000) × 100 = **14.7%**
3. 🎁 배당 포함 수익률 계산 (총 수익률)
장기투자를 하거나 배당주에 투자했다면, 배당금 수익도 포함해서 총수익률을 계산해야 합니다.
▶ 총 수익 = 주가차익 + 배당금 - 수수료 - 세금
▶ 총 수익률 = (총 수익 ÷ 투자 원금) × 100
예시: - 매수: 1,000,000원 - 매도: 1,100,000원 - 배당금: 30,000원 - 수수료: 2,000원 → 총수익 = 100,000 + 30,000 - 2,000 = 128,000원 → 총 수익률 = (128,000 ÷ 1,000,000) × 100 = **12.8%**
✅ 수익률 계산 시 팁
- 매매일지 작성: 매수가, 수수료, 매도일자 기록 필수
- 수익률 앱 활용: 증권사 앱이나 스노볼, 티스탁 등
- 연 수익률 계산: 장기투자자는 복리 수익률로 연평균 환산 필요
📌 마무리
주식 투자는 단순히 ‘올랐다, 내렸다’로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, 실질 수익률을 정확히 계산하고 기록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.
수익률 계산법을 잘 알아두면 자산 흐름을 이해하고, 전략적인 투자 판단에 큰 도움이 됩니다.
오늘 소개한 수익률 계산법으로 본인의 투자 성과를 스스로 분석해 보세요!